[controller.js 코드 리뷰]
swagger는 내가 vscode에 넣으면, 문서에 자동으로 넣어주는 거고,
@patch하고 import할레? 뜨면 클릭 -> 상단 import 객체에 자동완성 됨
깨진 이유:
1) 괄호 안에 안 넣었어서
controller에서 @ApiTags('어드민 - 관리자')
@Controller('admin/manager')
export class AdminManagersController {
private readonly logger = new Logger(AdminManagersController.name)
constructor(private readonly adminManagersService: AdminManagersService) { }
하고 나서부터, api 코드 들어감
그래서 큰 배열 { } 안에 코드 추가됏어야 한 것
2) 그리고 함수 처음 쓰는 거라 - service에서 써주면 됨
async getUserInfo(
@Param('user_id') userId: number
) {
에서 userId: number 이게 선언해주는 ㄱ
DELETE 코드에 대하여,
여태 프로젝트에서 했던 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아예
해당 id의 행을 삭제하는 hard delete를 했었다.
탈퇴한 매니저에 대해서 아예 데이터를 날려버리고 삭제하는게 아니라,
( 스스로, 탈퇴자도 정보를 관리한다는 차원으로 이해하였다 )
데이터베이스에서
manager 테이블을 보면,
deleted_at이 null 이 아니라, created_at, updated_at처럼 날짜가 찍히면, 삭제되었구나 아는 방식 으로 soft delete을 스스로 이해했다.
물리삭제(hard delete)와 논리삭제(soft delete)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에는 물리삭제와 논리삭제가 있으며 그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velog.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