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날 하게 될 것을 미리, 체크리스트를 살펴봄으로써 생각해 볼 수 있다
Product Manager
Product Manager의 주요 관심사 - Product Value
👨🏻💻 개발자는 제품의 가치를 그 누구보다 앞서 생각하고 고민하고 구현까지 이루어내는 직업입니다. 각 팀에 소속된 여러분이 개발자로서 어떠한 제품적 가치와 의의를 두고 해당 프로젝트에 임하여, 어떻게 제품으로 까지 내어주셨는지 공유해주세요.
Q**. PET 관점에서 충분한 고민을 하셨나요?**
:: PET - 제품 / 엔드유저 / 기술
프로덕트 관점
- 이 제품/기능의 목적은 무엇인가?
- 각 웹서비스의 단계별 기능에 대한 목적 분석
-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하게 되는가?
- 고객층 확보, 유입률 증가 관점
-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떤 일이 생기는가?
- 문제 대응에 대한 시나리오 작성, 대응책 까지 고안
- 이 제품은 우리의 비지니스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 해당 웹서비스가 지니고 있는 가치 증명
- 사용자/매출/수익 관점에서 어떤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가?
- 우리의 웹서비스가 올바른 UI/UX적 경험을 유도하고 있는가?
- 기능의 성공 혹은 실패 시 어떤 리스크가 있는가?
- 고객의 불만족으로 이어질 수는 없는지?
- 고객에 금전적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지?
사용자(고객) 관점
- 누가 언제 왜 사용하게 되는가?
- 주요 타겟 고객층 설정하기
- 고객도 B2B / B2C로 크게 나누다고 할 때, 각 개념은 무엇인지?
- 그리고 우리 서비스의 End-user는 무엇인지?
- 해당 기능의 바로 이전에 생기는, 그리고 바로 이후에 올 수 있는 사용자적 행동은 무엇인가?
- UI/UX적 관점
- 이용 동선 사전 예측
- 사용 도중 예외 사항은 없는가?
- 사용자의 Anomalies 작성
- 잘못된 문제는 일으키지는 않는지?
- 악성 사용자들이 있지는 않는지?
- 해당 예외 사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 어떻게 하면 고객 경쟁으로 까지 유도할 수 있을까?
- e.g. 네이버 지식인 경쟁
- e.g. 바나프레소 금주의 최고 구매왕 경쟁 체제
- e.g. 크림의 경매 기능 등
기술 관점
- 내가 사용한 기술 스택은 무엇인가?
- 우리는 왜 이 기술 스택을 현재 이 프로젝트에 사용해야 하는가?
- 각 페이지 및 비즈니스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우리 팀은 어떠한 기술(웹 프로그래밍적) 전략을 생각하고 도입했는가?
- 우리가 선택한 이 스택의 대채제는 무엇이고, 우리는 어떠한 기회비용속에서 해당 선택을 내리었는가?
- 기술 **구현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졌는가?
- 코드의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은 고려되었는가?
Project Manager
Project Manager의 주요 관심사 - Project Process (Scrum)
👨🏻💻 개발자에게 있어서 일정 관리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 보다 우선되어야 하는 중요한 역량 중에 하나 입니다. 함께 일 하는 동료(개발팀, 디자이너팀, 기획팀 등..)들이 많아 질 수록 상세한 일정 관리는 팀의 신뢰감 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Q**. 아래 Sprint Routine은 잘 지켜서 프로젝트를 완료했나요?**
:: Sprint Meetings
- Planning Meeting - 매 주 월요일 이번 sprint에 진행할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기획을 관리합니다.
- Daily Standup Meeting - 매일 아침 팀원들이 정해진 시간에 모여 각자의 업무에 대해 공유합니다.
- Retrospective Meeting - 한 번의 Sprint, 혹은 프로젝트가 끝난 후 회고하는 미팅을 갖습니다.
:: Checklist
- [ ] Sprint Routine을 잘 지키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했나요?
- [ ] Meeting 내용은 잘 정리 되었고, 팀원 모두에게 잘 공유 되었나요?
- [ ] 모두가 Meeting 내용을 잘 반영 했나요?
- [ ] 팀원 모두가 정해진 미팅 시간 약속은 잘 지켰나요?
- [ ]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원인은 무엇인가요?
- [ ] 회고는 잘 이루어 졌나요?
- [ ] 발표 내용에 꼭 일정관리 내용을 넣어주세요
Q**. Trello 관리는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나요?**
:: Trello - 스프린트 계획 / 진행상황 / 앞으로 계획
- [ ] 스프린트 계획은 어디까지 였나요?
- [ ] 이번 스프린트에서는 몇 개의 티켓이 상정되었고, 전체 티켓과 이상적인 스프린트 데드라인 대비 현재 작업들의 진행률은 몇 % 인가요?
- [ ] 프로젝트 마무리 까지 모든 것이 일정대로 잘 기록 되고 진행 되었나요?
- [ ] 남은 과제는 계속 진행할 예정인지 확인해주세요.
- [ ] 마지막으로 트렐로 정리는 잘 하셨나요?
Meta-Cognitive Follower
전체 팀원의 주요 관심사 - 개발자로서의 메타인지 사고
<aside> 📢 항상 일방적 수렴의 입장에서 이제는 한 사람의 개발자이자 한 명의 팀원으로서, 나 자신의 업무 역량, 방향, 태도가 객관적으로 팀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판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잘한 것은 더 잘하고, 아쉬운 점은 향후 개선될 수 있도록 아래의 메타인지 사고를 진행해주세요!
</aside>
Q. 프로젝트에 임하는 참된 개발자의 시선을 유지해주셨나요?**
:: 개발자의 시선 - Followership
- PM 관점과 사고를 일치화하여,
- 팀 프로젝트가 나아가는 그릇된 방향을 더 옳은 방향으로 수정하려 노력하셨나요?
- 팀의 발전을 위한 나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정립하셨나요?
- 지금 당장 내가 해야하는, 팀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일을 적극적으로 찾아서 수행하셨나요?
:: 혹시, 아래의 모습을 보이지 않으려고 노력하셨나요?
- 이 일을 왜 하는가를 알려고도 하지 않고 이해하지 못하였음
- 전체 큰 그림과 큰 판을 보지 못하였음
- 매일, 매주 이루어지는 회의체에서 말없이 고개만 끄덕였음
- 업무를 보며 우선 순위를 설정하지 못하였음
- 수면 위에 드러난 것만 보았음
- 마주한 문제점 혹은 궁금점에 대해 질문을 하지 안하거나 못하였음
- 마주한 문제를 문제로 인식하지 못하였음
- 선택과 집중을 하지 못해 시간적 압박을 견디지 못하였음
- 발견한 문제를 누군가 고치겠거니, 그러려니 하였음
- 발견한 문제에 대해 충분한 Action Item을 도출하지 못하였음
- 우리의 프로젝트에서 내가 팀원으로서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발견하지 못하였음
'Wecode - Project 3 (부트캠프) > Project 3 kick-off'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ject 3: 시나리오 예시 ; 설계 및 기획안 참고 예시 (0) | 2023.10.09 |
---|---|
Project3: kick-off [좋은 설계란?] 세션 ; 소헌 멘토님 (0) | 2023.10.09 |
학습자료 | Project-3rd - 수행 안내 가이드; 전반적 flow (0) | 2023.10.09 |
Project 3: 백/ 프 진행 가이드라인 (0) | 2023.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