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하게 이해하기 좋은 실습
[깃허브] branch 생성 후 github 업로드 성공!
포스팅 업로드를하다가, user- 회원가입 , 로그인 posting- 포스팅 이렇게 구분해서 코드를 미리 올려놓으면 좋겠다 싶어서, 내 개인 repository에 올리고 싶어서 다시한번 실패했던, 질문하려고 했던 g
pm-developer-justdoit.tistory.com
깃허브 branch 생성, remote 올리고, pull request, main branch pull 까지 : 한 사이클 정리
1) 로컬폴더 만들기 terminal에서 cd desktop > mkdir 폴더 만들고 (로컬 폴더) 깃허브 가서 new repository> create 만들고 terminal에서 git init 하고, git remote 혹은 git remote-v 하면 아무것도 안 나오는 게 정상 이
pm-developer-justdoit.tistory.com
순서대로 아님
1. Linux 세션 때 만든 wecode 폴더로 이동
- cd Desktop/wecode
2. wecode 폴더 안에 git_practice 폴더 생성
- mkdir git_practice
3. Git 시작 : git init
- git_practice 폴더 진입 후 (cd git_practice)
- .git 폴더 확인 (ls -al)
4. 본인영문이름.md 파일 생성
- touch seungyunlee.md
5. 해당 파일에서 본인 이름 작성 후 저장
- vi seungyunlee.md
- insert 모드 전환 후 내용 작성 및 저장
- Optional) git 상태 확인 : git status
7. Staging(중간 저장) : git add .
- Optional) git 상태 확인 : git status
8. Commit : git commit -m "메세지"
- Optional) git 상태 확인 : git status
9. Commit history 확인 : git log
10. Github repo 생성
- github 사이트 → New repository
11. git_practice 폴더와 github repository 연동
: `git remote add origin repository주소`
12.git push origin [branch이름]
13. 깃허브에서 git clone [해당 branch url] 하면 폴더가 로컬에 다운 받아짐
프로젝트할떄, 각 팀원들이 다른 팀원이 만든 코드를 main 저장소에 올린 거를
clone으로 각자 로컬에 다운 받는다
터미널에서 git clone [해당 branch url 복붙]
하면 폴더가 로컬에 다운 받아짐. ---> branch를 별개로 생성해야 함
'Wecode - Foundation 1 (부트캠프) > Git,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깃허브 활용 (0) | 2023.09.04 |
---|---|
Git, Github 개념, 명령어, 차이점 / branch 생성 (0) | 2023.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