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54

기업협업 - 2번째 프로젝트: 3일차 [전체 초기세팅 하는법]-추가 ormconfig.js

api를 짜다보니 ormconfig.js 가 필요하겠단 생각이 들어서 추가하기 github에 개인 정보, 비밀번호가 올라갔을 경우 [reset --hard], local commit 내역으로 확인! 현재 나의 문제 상황: github remote 에 내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가 올라가 있다. 내가 한 액션: 1. 로컬에서 ormconfig.js 파일 생성, gitignore 에 ormconfig.js를 추가한 뒤 2. git add, git commit, push 3. 깃허브 브 pm-developer-justdoit.tistory.com 초기세팅 순서 nest new 프로젝트 생성 의존성 설치 ormconfig.js entity repository service controller module main...

github에 개인 정보, 비밀번호가 올라갔을 경우 [reset --hard], local commit 내역으로 확인!

현재 나의 문제 상황: github remote 에 내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가 올라가 있다. 내가 한 액션: 1. 로컬에서 ormconfig.js 파일 생성, gitignore 에 ormconfig.js를 추가한 뒤 2. git add, git commit, push 3. 깃허브 브랜치를 가보니, ormconfig.js가 업로드 되어 있고, 이상하게도 gitignore에는 내가 올라가지 말라고 해놓은 ormconfig.js가 적혀 있었다. 4. 그래서 나는 일단 깃허브에 있는 ormconfig.js 를 삭제 했다. 원격에는 비밀번호가 있는 해당 파일이 없으니 괜찮은건데, commit history 내역에 가면 이전과 commit 후를 비교하는 내역에서 남아 있었다. 그 commit을 지우는 방법이 없을까..

파이썬

decorator 1) 어떤 함수를 실행하기 전에 강제로 먼저 실행해주는 함수. 2) 표현법은 @함수명 으로 표기한다. 3) 데코레이터를 정의하는 함수의 내부는 클로져로 작성되어 있다. 2. 기본적인 패턴 1) 데코레이터를 붙일 함수를 인자값으로 받는다. 가장 바깥에서 인자값을 받고, 내부는 기존 패턴대로 작성하되, 중간에 추가한 함수(decorator)에 대한 리턴 값을 반드시 설정 출처: https://avengersrhydon1121.tistory.com/131 [익명의 개발노트:티스토리] 딕셔너리 메서드 1) keys() : 딕셔너리의 Key만을 모아서 dict_keys라는 객체를 리턴한다. 2) values() : 딕셔너리의 values만을 모아서 dict_values라는 객체를 리턴한다. 3)..

기업협업 2번째 프로젝트: 깃허브 브랜치 에러 해결

나는 지금 같은 깃허브 레포 안에 있어, 초기세팅 브랜치와 url 기능 브랜치를 둘다 만들었어, url 기능 브랜치 안에는 초기세팅이 들어있어, 이후에 초기세팅 브랜치를 내가 수정했어, 이게 Url 기능 브랜치에 반영됐으면 좋겠어, 어떻게 해 (원래 같았으면 깃허브 브랜치 띄어놓고, 복사 붙여넣기 하나하나 했는데 혹시 방법 이 있는지 하고 물어봤다)

import { Inject, Injectable } from '@nestjs/common' 에서 inject 와 injectable이 뭐야

역시 처음부터 초기세팅부터 api 작성을 하니 알 수 있는 게 많다! import { Inject, Injectable } from '@nestjs/common' 에서 inject 와 injectable이 뭐야 @nestjs/common 모듈에서 가져온 Inject와 Injectable은 NestJS 프레임워크의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관련 데코레이터 및 클래스입니다. @Injectable: @Injectable 데코레이터는 클래스를 서비스로 선언하고 의존성 주입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데코레이터입니다. 클래스에 @Injectable 데코레이터를 추가하면 해당 클래스를 NestJS에서 제공하는 의존성 주입 컨테이너에 등록하고, 다른 클래스에서 해당 클래스를 주입하거나 사용할..

기업협업 2번째 프로젝트: 서버 구동 후엔, 데이터베이스 연결

dbeaver에 Mysql 누르고 env 파일이 꼭 없어도 된다. 설정 파일이라. 내 localhost, port는 자동으로 그리고 내가 실수했던 게, database이름을 넣어야 하는데, 나는 table 이름을 넣어서 안 된 것. test connection으로 해보는 게 좋다 완료 누르면 다시 설정 변경 바로 하기 불편해서

기업협업 2번째 프로젝트: 깃허브 에러 해결

➜ short-url git:(develop) git push -u origin dev error: src refspec dev does not match any 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https://github.com/ [ ] .git' origin https://github.com/ [ ] .git (push) ➜ short-url git:(develop) ✗ git push -u origin main error: src refspec main does not match any 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https://github.com/ [ ] .git➜ short-url git:(develop) ✗ git push -u ..

기업협업 2번째 프로젝트: entity 작성

데이터베이스 이름은 dblog 이고, +-------------+--------------+------+-----+---------+----------------+ | Field | Type | Null | Key | Default | Extra | +-------------+--------------+------+-----+---------+----------------+ | id | int | NO | PRI | NULL | auto_increment | | originalUrl | varchar(200) | NO | | NULL | | | shortenUrl | varchar(200) | NO | | NULL | | | created_at | timestamp | YES | | NULL | | | ..

데이터를 매핑해서 redirect하는게 뭐니

데이터를 매핑해서 리디렉션(redirect)하는 것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URL로 사용자를 리디렉션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특정 URL에 대한 요청을 받았을 때, 해당 URL과 관련된 데이터를 조회하고,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다른 URL로 리디렉션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URL 단축 서비스를 구현하는 경우, 원래 URL과 해당에 대응하는 단축 URL 간의 매핑을 유지하고, 사용자가 단축 URL을 요청했을 때, 서비스는 이를 원래 URL로 리디렉션합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를 매핑하고 리디렉션을 수행합니다. 일반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조회: 사용자의 요청 URL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련 정보를 조회합니다. 이 정보는 원래 URL..

기업협업 2번째 프로젝트: api 작성과 서버 가동

dbeaver에서 mysql로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려고 하니, 생각해보니, 서버 가동이 돼야 가능했다. 그래서 서버 가동을 하기로. (이렇게 순서를 깨닫게 되는!) package.json 을 참고 하여, 서버 가동 명령어를 했더니 위와 같이 명령어를 해봤더니, tsc가 없다고, 혹시 위 chatgpt에서 나오듯 tsconfig.json이 잘못됐나 보니, 나는 이전 프로젝트에서 복붙을 해놓았고, 찾아보았다. typescript를 설치하고 난 뒤에, 다시 tsc 명령어를 해보니 되었다! 다시 nest start 로 서버 구동하면 내가 놓친 많은 걸 알려준다 하나씩 해결하면서 서버 구동이 가능할때까지 하면 된다 현업자 팁: 서버 구동시키면서 api 작성! 올바른 directory에 node.module이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