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code -기업협업 인턴 (부트캠프) 59

기업협업 2번째 프로젝트: entity 작성

데이터베이스 이름은 dblog 이고, +-------------+--------------+------+-----+---------+----------------+ | Field | Type | Null | Key | Default | Extra | +-------------+--------------+------+-----+---------+----------------+ | id | int | NO | PRI | NULL | auto_increment | | originalUrl | varchar(200) | NO | | NULL | | | shortenUrl | varchar(200) | NO | | NULL | | | created_at | timestamp | YES | | NULL | | | ..

데이터를 매핑해서 redirect하는게 뭐니

데이터를 매핑해서 리디렉션(redirect)하는 것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URL로 사용자를 리디렉션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특정 URL에 대한 요청을 받았을 때, 해당 URL과 관련된 데이터를 조회하고,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다른 URL로 리디렉션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URL 단축 서비스를 구현하는 경우, 원래 URL과 해당에 대응하는 단축 URL 간의 매핑을 유지하고, 사용자가 단축 URL을 요청했을 때, 서비스는 이를 원래 URL로 리디렉션합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를 매핑하고 리디렉션을 수행합니다. 일반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조회: 사용자의 요청 URL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련 정보를 조회합니다. 이 정보는 원래 URL..

기업협업 2번째 프로젝트: api 작성과 서버 가동

dbeaver에서 mysql로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려고 하니, 생각해보니, 서버 가동이 돼야 가능했다. 그래서 서버 가동을 하기로. (이렇게 순서를 깨닫게 되는!) package.json 을 참고 하여, 서버 가동 명령어를 했더니 위와 같이 명령어를 해봤더니, tsc가 없다고, 혹시 위 chatgpt에서 나오듯 tsconfig.json이 잘못됐나 보니, 나는 이전 프로젝트에서 복붙을 해놓았고, 찾아보았다. typescript를 설치하고 난 뒤에, 다시 tsc 명령어를 해보니 되었다! 다시 nest start 로 서버 구동하면 내가 놓친 많은 걸 알려준다 하나씩 해결하면서 서버 구동이 가능할때까지 하면 된다 현업자 팁: 서버 구동시키면서 api 작성! 올바른 directory에 node.module이 없어..

nestjs에서 entity 파일이 뭐니

NestJS에서 Entity 파일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관련된 모델 또는 스키마를 정의하는 TypeScript 클래스 Entity 클래스는 주로 TypeORM과 같은 ORM (Object-Relational Mapping) 라이브러리와 함께 사용되며,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 코드 간의 상호 작용을 단순화하고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데이터를 JavaScript 또는 TypeScript 객체로 매핑합니다. Entity 클래스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모델 정의: Entity 클래스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구조를 정의하며, 각 속성 (필드)을 클래스 속성으로 나타냅니다. 이 클래스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각 레코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표현합니다.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매핑: Entity 클래스는..

dao, controller, router를 쓰는거랑, module, repository, controller를 쓰는 차이

dao, controller, router 패턴과 module, repository, controller 패턴은 각각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접근 방식입니다. 이 두 가지 패턴은 각각 다른 목적과 설계 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각 패턴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하겠습니다: 1. dao, controller, router 패턴: DAO (Data Access Object):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을 추상화한 객체를 나타내며,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검색,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DAO는 데이터베이스 연결, 쿼리 작성 및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매핑을 처리합니다. Controller: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고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는 중간 계층입니다. Cont..

환경변수 설정하는 이유

ChatGPT 환경 변수 설정은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운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음은 환경 변수 설정의 주요 이유입니다: 1. 애플리케이션 구성 관리: 환경 변수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를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각 환경(개발, 테스트, 스테이징, 프로덕션)에 대해 다른 구성을 제공하고,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쉽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2. 보안: 중요한 비밀 정보 (예: API 키, 비밀번호, 암호화 키)는 환경 변수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환경 변수는 소스 코드와 함께 버전 관리되지 않기 때문에 노출될 위험이 줄어듭니다. 3. 포팅 가능성: 환경 변수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을 다른 환경 또는 플랫폼으로 쉽게 이전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은 ..

기업협업 2번째 프로젝트 : 초기세팅 (2주차 화요일)

데이터베이스를 중간에 추가하더라도 괜찮음 개발하면서 필요할 거 같은 테이블을 추가하는 거고, (그렇기에, 나는 초기세팅부터 하기로 했다) 초기환경 세팅은, 일단 우리가 배포할 게 아니니까 개발 환경 기준으로 세팅 env. 파일도 필요 없고. 배포할 게 아니니까 (각자 github repository 파서 각자 방식대로 하기로 했다) middleware 파일이 이전 프로젝트에서는 없었는데, 이제 내가 하기 나름으로 npm install -g @nestjs/cli --> 이게 필요한 파일과 모든 걸 다 만들어준다, 타입스크립트 설치하지 않아도, tsconfig도 나옴 --> nest.js 설치 nest new [project-name] - npm install mysql, mysql2 port 넘버 확인 후..

기업협업 2번째 프로젝트(2주차 월요일: 구상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

목표; 기능개발보다, 혼자 database도 만들어보고, 구조를 만들어보는게 가장 큰 것 "백엔드 분들은 프로젝트 미리 생성하셔도 될것같아요 기능은 short url 생성하는 기능으로 https://www.shorturl.at/ 해당 사이트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저 사이트 말고도 short url 검색하시면 비슷한 사이트 많이 나오니 참고해보세요! nestjs 프레임워크 사용해주시고 db는 아무거나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도메인을 제외한 뒷부분은 절대 중복되지 않는 '영문 대소문자와 가끔 하나의 숫자' short url 요구사항 하나 추가할게요 ip 주소 수집해서 일 30회만 변환 가능하게 작업해주세요! 로그인 회원가입은 없어도 되고 기본 기능만 구현하면 됩니다" 아래 기능을 참고하라고 하시는 거 같다! c..

DBeaver - erd,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확인법

https://sidorl.tistory.com/32 [DBeaver]ERD 확인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잇킹 시도르입니다. 오늘은 DBeaver 기능 중 Database의 ERD를 자체적으로 그려주는 기능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방법은 간단한데 알고 나면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먼저 이전에 생성 sidorl.tistory.com dbeaver 에서 > databases? schemas > 테이블 총 집합 더블클릭으로 띄우고 > 'entity 관계도 ' = erd table 나온다 script로도 터미널처럼 sql 명령어를 칠 수 있다 하단에 새로고침하면, postman에 통신한 것들/ 로컬 서버에서 수정한 정보들 반영된다

phpMyAdmin

phpMyAdmin은 MySQL과 MariaDB를 위한 관리 도구이다. PHP로 개발된 포터블 웹 애플리케이션이며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필드, 열의 작성, 수정, 삭제, 또 SQL 상태 실행, 사용자 및 사용 권한 관리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https://blog.embian.com/69 phpMyAdmin 설치 및 사용하기 phpMyAdmin은 MySQL을 웹 상에서 관리할 목적으로 PHP로 작성한 오픈 소스 도구이다.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필드, 열의 작성, 수정, 삭제, 또 SQL 상태 실행, 사용자 및 사용 권한 관리 등의 다양한 작업 blog.embian.com https://blog.naver.com/ncloud24/221568802466 phpMyAdmin 설치 및 사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