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code - Project 3 (부트캠프)/Project 3 과정

Project 3: sprint 1주-1일차 - PET 분석

Queen Julia 2023. 10. 9. 17:38

회원 )

  1. 어떠한 고객이 우리 서비스의 회원층이 될 수 있을까?

어떤 상품 판매하느냐에 따라 다른데, 

일단은, 

 

내가 만든 사람을 쉽게 판매하고 싶은 사람, 

집 근처에서 구매하고 싶은 사람 

거점 등록으로 본인 영업장/ 가게를 홍보하고 싶은 사람 

지역경제에 사람 많은 사람 

 

방문자, 주소지가 반경 5km 이내인 사람. 

현재로 하면 지역경제랑 의미가 멀어지니, 거주지로 하기로 

 

<기술적> 

회원가입 시 주소지로 하고, 

쿠팡/ 배민처럼 회원가입 시 주소지, 현재 위치 주소로 따로 

 

ex. 금융적인 지식이 부족한 국민 / 미래 가족 금융에 고민이 있는 사람/ 공동으로 자산 관리를 하고싶은 사람/ 자녀의 용돈을 관리하고 싶은 분

 

 

2. 보다 많은 고객들을 어떻게 더 유입시킬 수 있을까?

 

판매자 입장에선 다른 곳에 유통하는거보단 비싸야하고, 소비자 입장에선 다른 곳에서 사는거에서 싸야 하고 

우리는 중개만. 우리 돈 나가는게 아니니. 

 

배송비만 무료여도, 이득. 

직접 배송 -> 택배 

 

택배를 뺄까? 배송을 해야 함 

카페 앞에 무인택배함 설치 -> 주문 번호 입력 -> 택배/ 도서관 무인 

 

수익 창출 
- 결제 수수료
- 광고 배너 
- 거점 앞  (카페/영업장까지 가야 하니까) 

사용자 등록을 하지 않아도 판매 기회를 준다 

프로모션-> 친구 초대 이벤트 / 첫 구매 시 배송비 무료 등 

지역 특색에서만 살 수 있는 상품을 주력으로 -> 

 

 

3. 어느 정도까지 필요한가?

  • 핸드폰번호 , 패스워드를 제외한 본인인증절차를 추가하여 유저의 개인 정보 관리한다.

-> 영업자 거점을 나이트까지는 아니고, 

-> 회원정보 : 필수값: 이름,  휴대폰번호, 자택주소, 판매자 주소, 업장(판매자)번호, 이메일 -> 휴대폰 인증 (주소 사기칠 수 있으니), 닉네임(리뷰페이지 있을거니)

user table 에 판매자를 null 값으로 (판매자 + 사용자 겹칠 경우) 

성별, 나이 안 중요함.  (법적인 건 안 되게)

올리면 팔 수 있는 거로 쉽게 가기로. 

 

소비자로 가입 후, 판매자가 되고 싶을 떄, 소비자 값은 필수값으로, 판매자값은 필수 아닌 거로 해서, 정보를 넣는 거

어쨌든 한 계정으로 할 수 있도록 --> 이게 장점. 

 

 

 판매자 테이블을 만들어서 연결 해도 되니. 

 


서비스 )

우리 서비스는 어떻게 정의 할 수 있을까??

 

 지역 상인과 소비자 간의 거래를 활성화 해서 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하는 서비스 

누구나 구매 판매 가능한 (나이, 성별 없앴으니) 서비스 

 

  • 소비 패턴을 분석하고 통합하여 개인과 공동의 자산관리를 더 편리하게 해주는 서비스
  • 금융 지식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가족들에게 예산 편성과 금융 계획을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앱을 제공합니다
  • 가족의 재정 건강을 향상시키고 가족 구성원 간의 금융 지식과 네트워킹을 촉진합니다.

매출)

우리 서비스의 매출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프리미엄 구매자) 로켓와우처럼, 구독 서비스로 배송비 무료 -> 일반 판매자, 프리미엄 판매자 
  • (프리미엄 판매자) 프리미엄 멤버를 상위노출 (메달 달아놓는)  ex. 파워링크 (쿠파-> 일반 판매자, 프리미엄 판매자 
  • 상단 배너 광고 제공을 통한 광고비 수익 창출 
  • 수익에 따른, 결제 수수료 -> 판매자에게 받는 거로. 

쿠팡이츠에서 지도에서 거점 -> 깃발 달아놓는거처럼 

 

기획자의 의도를 개발자가 기술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분석해야할 요소는 무엇 무엇이 있는가?

  • 수집하는 데이터의 시각화 / 마이데이터의 api 분석

리포팅 ) Admin  -> 판매자 (우리가 아니라) 

분석자료를 어떻게 화면으로 보여야하는가?

 

- 일반적 매출 엑셀표  or chart 형태 (어떤 방식의 데이터인지는 나중에) 

  • 어드민 화면에서 차트 형태로 주문 내역, 주문 상태 (판매자가 궁금할 수 있으니, Null)  등 노출
  • 기간별 데이터 노출

 

ex. 

  • 마이데이터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데이터를 불러와서 정리해서 사용한다.
  • 카테고리별로 입출금 내용을 시각화하여 제공한다.
  • 월별 일별 ( 기간별 ) 그래프 제공한다.

데이터 보안 )

어떻게 보안 관리를 할 수 있을지?

- aws 보안 설정 

- 토큰 

- 주소 보안 -> 민증 사진 보여달라고 -> 그러면 고객 입장에서 안 쓸 거 같음 

- 진짜 이 주소가 맞으신가요? alert 창 (지역경제인데 그렇게 파고들지 않아도 됨) 

 

ex. 

  • vpc / aws / iam 으로 보안 설정하고 프라이빗 클라우드 설정을 구축한다.
  • aws inspector와 waf 기능을 사용하여 보안을 진단하고
  • 유저의 비밀번호와 계좌번호는 256 비트 암호화 해서 관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