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54

nice와 nicepay

**NICE**와 **NICEPAY**는 관련이 있는 두 가지 개념이지만, 역할과 서비스가 다릅니다.1. NICE- **NICE (NICE Group)**: 한국에서 다양한 금융 및 비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기업 그룹입니다. 이 그룹은 신용평가, 데이터 분석, 금융 솔루션, IT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자회사로는 NICE신용평가, NICE정보통신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금융 서비스, 신용카드사, 은행, 보험사 등에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2. NICEPAY- **NICEPAY**: NICE정보통신의 전자 결제 서비스 브랜드입니다. 주로 온라인 결제 게이트웨이(PG) 서비스를 제공하며, 인터넷 쇼핑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기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사용..

해외결제-생체인식

해외 결제는 Fraud(사기 결제), Chargeback 등의 이슈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에 각 결제사들은 자체적인 스크리닝과 필터링 기술들을 발전시켜 왔죠. 최근에는 SIGNIFYD 같은 Fraud 필터링 관련 스타트업도 대규모 투자를 받으며 성장해 나가고 있습니다.Biometric Authentication 이런 추세 속에 생체 인식을 통한 필터링 또한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는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대표적인 생체 인식 방식은 지문인식, 홍채인식, 심장박동 수, 안면인식, 손바닥 정맥 스캔 등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저도 휴대폰 잠금 해제 방식이 지문 인식입니다. 써보니 너무 편합니다.최근 출시된 애플의 아이폰 X 도 생체 인식 기술을 통한 로그인 기술을 광고 소재로 활용하고 있습니..

VAN사 : POS , 단말기와 차이

한국정보통신 kicc한국스마트카드 kscc 티머니지오엠아이앤씨(GOM&Company)와 ElixirPay는 같은 회사가 아닙니다. - **지오엠아이앤씨 (GOM&Company)**: 주로 GOM Player와 같은 미디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회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 **ElixirPay**: 결제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로, 주로 전자 결제 및 관련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이 둘은 서로 다른 산업 분야에서 활동하는 별개의 회사입니다.포스기랑 단말기, van 관계와 차이결제 과정에서 상호작용1. 포스기 (POS기, Point of Sale)- 역할**: 판매 시점에서 상품 및 서비스를 관리하고 결제를 처리하는 장치보통 가게, 식당, 슈퍼마켓 등에서 사용되며, 상품의 스캔, 판매 내역 ..

싱가포르 테크핀 회사 중에 결제 서비스를 하는 회사를 알려줘

싱가포르에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테크핀 회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1. **GrabPay**: Grab Financial Group의 결제 서비스로, 모바일 결제, QR 코드 결제, 온라인 결제 등을 제공합니다. Grab의 다양한 서비스(차량 공유, 음식 배달 등)와 연계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2. **SeaMoney (ShopeePay)**: Sea Group의 결제 서비스로, Shopee 플랫폼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다양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점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디지털 지갑, 모바일 결제, 송금 서비스를 제공합니다.3. **Revolut**: 디지털 뱅킹 앱으로, 다중 통화 계좌, 해외 송금, 카드 결제 등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들이 해외에서 저렴한 수수료로 결제를 할 수 있..

알리바바 그룹과 계열사와 자회사

딩톡(DingTalk)은 중국의 알리바바 그룹(Alibaba Group)에서 만든 기업용 메신저 및 협업 플랫폼입니다. 알리바바는 전자상거래를 비롯해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기술 기업입니다.중국의 거대 기술 기업인 **알리바바 그룹**(Alibaba Group)과 그 계열사, 서비스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알리바바 그룹** (Alibaba Group)- **본사 위치**: 중국 항저우(Hangzhou).- 알리바바는 전자상거래, 금융, 클라우드 컴퓨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글로벌 기업입니다.### 2. **앤트 그룹** (Ant Group)- **관계**: 앤트 그룹은 알리바바 그룹의 금융 기술 계열사로, 특히 디지털 결제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

개발환경에서 간편결제를 연동할때 단말기에서 테스트하는거야?

간편결제 시스템을 개발 환경에서 연동할 때 실제 오프라인 단말기에서 테스트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대신,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개발 및 테스트가 진행됩니다:### 1. **모의 서버 및 가상 단말기**   - **모의 서버(Mock Server):** 실제 결제 서버를 흉내내는 모의 서버를 사용하여 간편결제 요청과 응답을 테스트합니다. 이 서버는 다양한 상황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어, 성공적인 결제, 실패한 결제, 네트워크 오류 등의 상황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   - **가상 단말기:** 실제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 단말기의 동작을 가상으로 구현한 프로그램을 사용해 결제 프로세스를 테스트합니다.### 2. **API 연동 테스트**   - 간편결제 서비스(예: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는 개발..

회선

오프라인 ㅡ van사 : 전용회선으로 통신 전용회선 딸 때 active(주), backup/standby(부)회선standby 회선과 backup회선 둘다 같아?"Standby 회선"과 "Backup 회선"은 유사하지만, 용도와 사용 방식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Standby 회선**: 주 회선이 정상 작동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대기 상태로 있는 회선입니다. 주로 장애 발생 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환되어 사용됩니다.- **Backup 회선**: 주 회선이 고장 나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대체할 수 있는 예비 회선입니다. Standby 회선과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지만, "Backup"이라는 용어는 더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백업 회선은 주 회선의 문제뿐만 아니라..

전용망이랑 공중망이랑

전용망과 공중망은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나 접근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두 개념을 비교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1. **전용망 (Private Network)**   - **정의:** 전용망은 특정 조직이나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폐쇄된 네트워크입니다. 보안, 성능, 프라이버시 등을 이유로 외부와의 접속을 제한하거나 차단합니다.   - **특징:**     - **보안:** 전용망은 외부 접근이 제한되어 있어 매우 높은 보안 수준을 유지합니다.     - **프라이버시:** 오직 네트워크에 승인된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안정성:** 네트워크 성능이 외부 트래픽에 영향을 받지 않아 일관된 속도와 품질을 제공합니다.     - **사용 사례:** 기업의 내부 네..

전용망과 전용선이 같네

전용망과 전용선은 용어가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른 개념을 가리킵니다. 이 두 용어의 차이점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전용선 (Leased Line)**   - **정의:** 전용선은 통신사로부터 특정 구간을 전용으로 임대받은 물리적인 통신 회선입니다. 주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특징:**     - **독점적 사용:** 임대한 전용선을 사용자만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용자들과 대역폭을 공유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속도와 품질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 **고정된 대역폭:** 전용선은 고정된 대역폭을 제공하며, 이 대역폭은 사용자가 통신사와 계약할 때 미리 정해집니다.     - **주로 사용하는 곳:**..

간편결제란

간편결제란 별 다른 게 아니다  QR 이든 바코드이든그 간편결제 앱에 등록된 카드로 결제하든 (ex. 애플페이 = nfc 국민은행 페이 = qr, 바코드)  카드를 단말기에 갖다대는  nfc 이든카드를  단말기에 꽂는 ic칩이든  카드 번호, 거래 정보를가맹점, 중개사, 결제회사에 보내는 행위이다.  월렛이란, 한국의 카카오페이, 토스페이, 네이버페이일본의 페이페이 중국의 알리페이 태국의 래빗라인페이 트루머니 말레이시아의 터치앤고  이런 식으로 각 나라의 핀테크 회사들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qr과 바코드로 결제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오프라인에서는 qr과 바코드를 포스기의 바코드 리더기에 찍으면 되고 (키오스크 혹은 스캐너)  온라인에서는 내 폰에 설치된 월렛사 어플을 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