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은 이해와 적용이다. 무슨 함수를 쓰는지 뜯어보아야 한다. 어떤 변수를 쓰는지 보아야 한다. 궁금해 하고. (그리고, 코드가 완벽하면 통신할 때 오류가 날 확률이 적은데 주니어의 경우는 대부분 코드의 문제이기에, 더욱 더 코드를 이해하고 분석해야 한다.) 수학 공식처럼, 함수를 만든 사람이 그렇게 하기로 약속을 하고 공식문서에 넣었기 때문에, 공식 문서에 가서 왜 쓰는지, 어디에 쓰는지 알아야 한다. 자, 이제 app.js를 시작해보자. const http = require("http"); --> http를 가져온다 const jwt = require("jsonwebtoken"); const userServices = require('./Services/userServices.js') con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