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54

Project 3: sprint 1-1일차: 시나리오 선택 회의

1번 차트가 에러 , 은행 계좌 연결 , 자동 이체 외부 API 쓰면 되는데. 2번 식단 이미지 다양하게 넣어야 함 다른 것에 비해 채팅 서비스 필요 -> 트레이너와 상담 -> 근데 오프라인으로 상담하게 하고, 예약기능으로 해도 되나? 그러면 안 되는게, 프리미엄 결제 서비스가 있음. 건강 추적 -> 유저의 건강 관리 테이블 만들어서, 커뮤니티 -> 괜춘 , 글 올리고 댓글 달기는 오케이 (라이브로 하는 건 힘듦) 트레이너 지도 및 추천 -> 자세한 내용 전화상담 식단 -> 몇 이상은 뭐하고 어드민은 넣으려면 다 넣을 수 있음. 운영자 계정으로 이상한 글 쓰면 빼게 할 수 있고 정해진 시간 안에 어떤 거 까지 할 수 있을지를 정하는게 좋다. 3주 목표로! 3번 의미부여를 여기에 하면 되니. 비즈니스적으로..

팀 역할 체크리스트 : Product Manager, Project Manager, Follower

마지막날 하게 될 것을 미리, 체크리스트를 살펴봄으로써 생각해 볼 수 있다 Product Manager Product Manager의 주요 관심사 - Product Value 👨🏻‍💻 개발자는 제품의 가치를 그 누구보다 앞서 생각하고 고민하고 구현까지 이루어내는 직업입니다. 각 팀에 소속된 여러분이 개발자로서 어떠한 제품적 가치와 의의를 두고 해당 프로젝트에 임하여, 어떻게 제품으로 까지 내어주셨는지 공유해주세요. Q**. PET 관점에서 충분한 고민을 하셨나요?** :: PET - 제품 / 엔드유저 / 기술 프로덕트 관점 이 제품/기능의 목적은 무엇인가? 각 웹서비스의 단계별 기능에 대한 목적 분석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하게 되는가? 고객층 확보, 유입률 증가 관점 문제가 발생했을 때 ..

Project 3: 시나리오 예시 ; 설계 및 기획안 참고 예시

1. Business Model 선정 우리동네 커뮤니티 동네 커뮤니티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웹 어플리케이션 기능 목록 같이 주문하기 (배달) 배달 시켜서 먹고 싶은 메뉴에 대한 글 업로드 (인원, 기한, 음식 카테고리 설정) 채팅방 생성 맛집 예약 동네 맛집을 예약할 수 있는 기능 예약금을 거는 것으로 pay 붙이기 동네 맛집 랭킹 지도 앱 적용 멤버 등급 2. 구현 기능 선정 위 Business Model을 토대로, 팀원간 프로젝트 내에서 구현할 기능들을 정의해 주세요. 기능 정리 미팅 기능 정리 미팅 추가할만한 기능 리스트 www.notion.so 기술 스택 FrontEnd: React, Javascript, styled-components BackEnd: Javascript, NodeJs, Expr..

Project 3: 주어진 Case Scenarios 선택 후보들 4 (온라인 이벤트 티켓팅 플랫폼)

- 유저 - 포스팅 : 이벤트 등록/관리(update, delete) - 검색, 탐색 - 위치 기반/ 필터링 - 주문/결제, 결제수단 다양 - 티켓 관리 , 확인 - 관리자 대시보드 - 보안 - 웹 상황개요: COVID-19 대유행 기간이 종료된 이후 시점에, 오프라인 행사를 기획하기 위한 온라인 이벤트 및 티켓 관리 플랫폼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었습니다 . 이들 플랫폼은 원격 이벤트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티켓 판매를 온라인으로 전환하며 안전한 결제 처리를 보장하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이점을 가집니다. 이러한 플랫폼의 유행에 대응하며 이벤트 기획자와 참가자의 안전과 편의를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제품을 기획하여 봅니다. --> 플랫폼 , 구매, 결제/주문, QR , 카카오톡/..

Project 3: 주어진 Case Scenarios 선택 후보들 3 (지역 마켓 플레이스)

10가지 - 제품 등록 - 유저 -위치 기반 - 주문 추적, 알림 - 리뷰 ,평가 (create posts) - 위치 기반 서비스 - 관리자 대시보드 - 보안(공통) - 모바일 ,웹 동시 A. Case 상황 설명 상황 개요: 대규모 이커머스의 등장으로 지역경제 상권의 둔화가 가속되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 뿐만 아니라 실물 경제의 거래는 국가와 사회 경제의 유연한 존속을 위해 꼭 필요한 요소입니다. 사용자들에게 쉽고 편리한 방식으로 지역 판매자들과 상품을 찾고 구매하도록 도와주며,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소비자들에게 지역 상품에 액세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제품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 주변, 지도 이용 비즈니스 목표: 지역 판매자에게 온라인으로 제품 및 서비스를 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

Project 3: 주어진 Case Scenarios 선택 후보들 2 (온라인 건강 / 피트니스 플랫폼)

앞서서 기능이 뭐가 필요할지 보는 역할이 리더 피트니스 - IT 플랫폼 - 유저 정보 - 게시물: 목표 설정 - 운동, 식단 계획 제공 -건강 '데이터 추적' - 커뮤니티/소셜 기능 (공유, 댓글, like ,도전과제미션/리워드 시스템) - 프리미엄 멤버십 결제 서비스 - 트레이너 상담: 지도, 추천 기능 - 보안 - 알림 - 맞춤형을 위한 건강 '데이터 분석' A. Case 상황 설명 상황 개요: 한국에서 비만 문제와 관련된 건강 문제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건강 및 피트니스 관련 스타트업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채택하고 유지하기 위한 온라인 건강 및 피트니스 플랫폼을 개발하려고 합니다. 제품 설명: 이 웹 및 모바일 앱 플랫폼은 사용자들에게 맞춤형 운동 및 식단 계획을 제공하고 건강 데이터를..

Project 3: 주어진 Case Scenarios 선택 후보들 1 (가계부 플랫폼)

1. Scenario Case-A | 가족 가계부 플랫폼 - 모바일 친화형 웹 - 핀테크 - 주문 결제 없고 - 자동 계좌 이체, 적금 , 잔고 추적 - 비즈니스 목표: 고객층 확대 목표 - user: 비번/ 사용자 정보 변경 update - 암호화 보안 (핀테크 이다 보니) A. Case 상황 설명 상황 개요: 금융적인 지식 부족이 한국인에게 매년 불필요한 비용을 초래하고 있음을 알고 계셨나요? 금융 교육의 부족한 통계 데이터가 미래의 가족 금융에 대한 고민을 가져올 때, 가족 내 용돈 예산 할당과 계획 프로세스를 명확하게 하는 목적으로 핀테크 서비스의 필요가 대두되었습니다. -> 핀테크, 주문 결제 없고, 자동 계좌이체/적금, 제품 설명: 본 웹 서비스는 가족 구성원에게 할당된 예산을 정리하고 가족 ..

Project3: kick-off [좋은 설계란?] 세션 ; 소헌 멘토님

첫번째로 획기적인 게 계산기 손으로 계산 하던 걸 다 대체 고객이 우리 제품의 가치, 의미 누를 수 있도록 -> 아이디어, 기획을 결과물을 완성 3 요소 Product End user Tech 좋은 제품은 좋은 설계에서 나온다 설계란? System Design > 주어진 서비스의 시스템을 어떻게 설계할지 정의 (소프트웨어에서의) 좋은 설계란? > 오늘 요구하는 기능을 온전히 수행, 다음에 일어날 일들을 (내일의 변경을) 매끄럽게 변경(수용)할 수 있는 설계 개발팀에서 기획팀에게 초기의 단계에 일어난 일을 변경하는 건 어렵, 뒷단 설계를 하는 (백엔드는 굉장히 flexible에게 구성하고, 앞단으로 갈 수록 미리 받은 요구사항에 맞춰서 수행) 설계 전략 방법론이 많이 개발됨 DD : Driven Desig..

학습자료 | Project-3rd - 수행 안내 가이드; 전반적 flow

필요한 사전 행정/기획 소요 개발자가 실무에서 마주해야하는 다양한 업무 프로세스 개발 과정 내내 늘 참고서로 활용될 다양한 행정 문건을 직접 작성하고 활용 목차 1. 시나리오 기반 BM(Business Model) 선정 주어진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구현할 비즈니스 모델을 선택하는 단계 A. 시나리오 확인 어떠한 배경속에서 탄생하게된 제품 기획인지 해당 시나리오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단계 핵심 기능과 제품, 대상을 선정하여 어떠한 도메인으로 프로젝트를 진행 할 지 결정하는 단계 각 팀은 아래 4개의 시나리오 중 하나를 선택받아 3차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됩니다. Case Scenario Options Case Scenario Options A new tool for teams & individuals that..

Project 3: 백/ 프 진행 가이드라인

👋 어느덧 3차 프로젝트의 순간이 다가왔습니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실무 협업 프로세스에서 필요한 다양한 행정 소요를 직접 경험하여, 교육생들로 하여금 해당 프로세스를 내재화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설계/기획 전략들을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다음의 개요를 통해 올바른 개발 프로세스를 익혀주세요. 🎯Mindset ✔ 진짜 개발자의 자세 가상의 비즈니스 문제를 직접 팀 내에서 고르는 형태 개발자는 늘 주어진 상황에서 내가 마주한 문제를, 가용한 자원과 리소스를 활용하여 해결해나가는 직업입니다. 가상의 비즈니스 문제를 잘 분석하여서, 팀으로서 올바른 전략을 도출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개발자의 숙명을 진심으로 체득합니다. ✔ 좋은 설계에서 탄생하는 좋은 제품 좋은 제품 -> 좋은 설계, 기획에서 탄생 좋은 제품: 궁극..